📚 IT & AWS 기초 요약

1. 기본 IT 용어

  • 네트워크(Network): 케이블, 라우터, 서버 등이 연결되어 데이터가 오가는 길.
  • 라우터(Router):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어디로 보낼지 길잡이 역할을 하는 장치.
  • 스위치(Switch): 네트워크 안에서 데이터가 정확한 서버나 컴퓨터로 가도록 도와주는 장치.


2. 클라우드 컴퓨팅의 5가지 핵심 특징

  1. 즉시 자원 사용(On-demand self service) → 필요한 자원을 바로 얻을 수 있음.
  2. 넓은 네트워크 접근(Broad network access) → 인터넷만 있으면 여러 기기에서 접근 가능.
  3. 자원 공유(Multi-tenancy & Resource pooling) → 여러 사용자가 안전하게 같은 자원 공유.
  4. 빠른 확장성(Rapid elasticity & Scalability) → 필요에 따라 서버나 자원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음.
  5. 사용량 기반 과금(Measured service) → 쓴 만큼만 비용 지불.

3. 클라우드의 6가지 장점

  • 하드웨어 구매 필요 없음 → 사용한 만큼만 지불.
  • 대규모 운영으로 비용 절감.
  • 실제 사용량에 따라 자동 확장 가능.
  • 개발과 배포가 훨씬 빨라짐.
  • 직접 데이터 센터를 운영·관리할 필요 없음.
  • 전 세계 어디든 빠르게 서비스 제공 가능.

4. 클라우드가 해결하는 문제들

  • 유연성: 자원의 종류나 크기를 쉽게 변경 가능.
  • 비용 효율성: 사용량 기반 결제 (Pay-as-you-go).
  • 확장성(Scalability): 트래픽이 늘어나면 서버/하드웨어 추가 가능.
  • 탄력성(Elasticity): 필요할 때 늘리고 줄이는 자동 조정.
  • 고가용성 & 장애 대응: 여러 데이터 센터에 분산되어 있어 안정적.
  • 민첩성(Agility): 빠른 개발과 서비스 출시 가능.

5. 클라우드 서비스 종류와 예시

  • IaaS (Infrastructure as a Service): 기본 인프라 제공 → AWS EC2, GCP, Azure
  • PaaS (Platform as a Service): 개발 환경 제공 → AWS Elastic Beanstalk, Heroku
  • SaaS (Software as a Service): 소프트웨어 자체 제공 → Gmail, Dropbox, Zoom


6. AWS 요금 기본 개념

  • 컴퓨팅(Compute): 서버를 사용한 시간만큼 비용 지불.
  • 스토리지(Storage): 클라우드에 저장된 데이터 용량에 따라 과금.
  • 데이터 전송(Data Transfer): 클라우드 밖으로 나가는 데이터만 비용 발생 (들어오는 건 무료).

💡 Tip: AWS 요금은 주로 사용한 만큼만 내는 구조라서 불필요한 리소스를 꺼두는 습관이 중요합니다.


7. AWS 리전(Region)

  • 리전(Region) = 전 세계에 있는 데이터 센터 묶음.
  • 선택 기준:
    • 법적·규제 준수
    • 고객과의 거리 (지연 시간 ↓)
    • 리전마다 제공되는 서비스 여부
    • 가격 차이

8. AWS 가용 영역(Availability Zone, AZ)

  • 한 리전 안에는 보통 3~6개의 독립된 데이터 센터가 존재.
  • 각각 전력, 네트워크가 중복 구성되어 있어 장애에 강함.
  • 서로 떨어져 있지만 고속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음.

9. AWS 엣지 로케이션(Edge Locations)

  • 전 세계 40여 개국, 90여 도시, 400개 이상의 엣지 위치 운영.
  • 주로 콘텐츠 전송(CDN, CloudFront) 에 사용 → 사용자에게 더 빠르게 서비스 제공.

10. AWS 서비스 범위

  • 전 세계(Global) 서비스: IAM, Route 53, CloudFront, WAF
  • 리전별 서비스(Region-specific): EC2, Elastic Beanstalk, Lambda, Rekognition

✅ 추가로 알아두면 좋은 점

  • Cloud vs On-Premise 차이: 클라우드는 필요할 때만 자원 쓰고 꺼둘 수 있지만, 온프레미스는 서버를 직접 사고 관리해야 함.
  • Cloud 비용 관리 팁: CloudWatch, Budgets 같은 AWS 도구를 활용해 실시간으로 비용을 추적하고 경고 설정 가능.

👉 이렇게 보면 클라우드는 “필요할 때 쓰고, 쓰는 만큼만 내고, 어디서든 빠르게 확장할 수 있는 IT 인프라” 라고 이해하면 됩니다.